1.반명함.jpg

브랜드 이미지 를 고려하여 개선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Front-End, Mobile App 엔지니어 정세희입니다.

Introduce

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주고싶은 핵심 가치 는 무엇일까?

위와 같은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며 UX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이탈율을 줄이고자 하는 FrontEnd, 크로스플랫폼 앱 엔지니어입니다.

게임프로그래밍으로 시작하여 여러 공모전과 프로젝트, 2번의 인턴쉽을 거치면서 ‘사용자 중심’이라는 개발철학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와 더불어 서비스의 가장 앞단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FrontEnd에 매력을 느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누적 1200명을 달성했던 MBTI테스트는 HTML, CSS, JavaScript의 원리를 이해하며 개발한 저의 첫 웹 프로젝트로, 아이디어 기획과 디자인까지의 전 과정을 경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이를 Netlify로 배포해보면서 웹사이트가 사용자에게 보여지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고, 배포 이후 주변 지인들이 서로의 결과지를 공유하며 이야기를 나눌 때 프론트엔드 직무를 즐겁게 할 수 있겠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습니다.

gptAPI 기반의 AI일기 프로젝트에서는 애자일방법론을 토대로 Scrum과 Sprint를 진행하며 협업하였습니다. MVP에서 초기 사용자를 많이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팀원들의 업무시간을 줄여야 했기 때문에, 백오피스 구축을 제안하였고 React와 TypeScript 기반으로 빠르게 어드민페이지를 구현하였습니다. 그 결과, 업무 시간은 30분에서 2~3분으로 줄였으며 초기 사용자는 270명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React Native 크로스플랫폼 앱을 출시하여 MVP와의 일관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였고, 다운로드 3200을 기록하는 등의 성과를 얻어낼 수 있었습니다.

저의 미래 포부는 계속해서 프론트엔드와 모바일 앱 개발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우고, 사용자 중심의 훌륭한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도전을 통해 보다 나은 개발자로 성장하며, 기술적인 역량을 향상시켜 나가겠습니다.

우수한 경력자들에 비해서는 실력이 많이 부족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입 개발자로서 작은 기회도 소중히 생각하며, 회사의 성장을 위해 끈기있는 자세로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Projects

1. MoodMemo ↖︎

https://github.com/MoodMemo/App_Template

2023.06-2023.11

감정스탬프와 메모 한줄로 만드는 AI일기앱 서비스

React Native TypeScript

Front-End